레이블이 wbadmi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wbadmi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8월 21일 수요일

윈도우 백업 (wbadmin)를 사용해 보자 (4)

백업을 하고 어떤 날짜의 백업인지 확인 했으니 복구를 해보자...

C드라이브가 아니고 D드라이브같은 시스템 드라이브가 아닌 백업에 대해서는 부팅하고 OS가 올라온 상태에서 cmd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서 복구를 하면되...자세한건 여기 (링크)

보통 D 드라이브가 나갔다 그럼 이렇게 실행하면되

wbadmin start recovery -version:[버전 식별자 값] -itemType:[복구할 타입] -items:[복구할 아이템] 
itemType은 Volume(디스크볼륨), App(응용프로그램 설정값), FIle(파일, 폴더)이 있어 입맛대로 고르면되 디스크 드라이브 볼륨을 복구 하고싶다면 Volume, AD나 exchange 설정값만 복구 하고싶다면 App, 특정 파일만 하고싶다면 File이렇게 하면되그리고 items 는 ItemType에대 한 상세 값이야.. Volume은 D드라이브를 할건지 C 드라이브를 한건지 정하고, App은 
Registry를 할건지 딴걸 할건지 정하고, File은 어떤 폴더를 할건지 정하는거야.
상세한건 위에 링크가서 봐.. 설명하기 귀찮다

예) D드라이브만 복구 해보자
wbadmin start recovery -version:08/21/2013-05:18 -backupTarget:\\10.1.1.10\backup -user:backup -password:password -machine:backup -itemType:Volume -items:d:
라고 하면되...

그리고, 시스템이 아주 아작나서 완전히, 모조리 복구 해야 할 경우에는 당연 윈도우 DVD를 넣고 시스템 복구로 들어가서 복구를 하겠지.. 그전에 당연히 네트워크 카드와 RAID로 구성된 경우 RAID 드라이버를 인식 시켜주고 해야하는거 알지? 자세한건 여기에 있어 (링크)

먼저 RAID 랑 NIC 드라이버를 인식 시켜

그리고 네트워크 IP를 줘야겟지 당연 cmd 창을 띄워서

netsh interface ipv4 set address name = "로컬 영역 연결" source=static address=10.1.1.9 mask=255.255.255.0 gateway=10.1.1.1 

이렇게 하면 되야되잖아... 근데 빌어먹을 복구 모드로 들어가면 한글이 입력이 안되...그러면 "로컬 영역 연결"이 입력이 안되....혹시나 해서 "Local Area Connection"이라고 입력해도 안되...그래서 나는..CD가 아닌 USB로 부팅 디스크를 만들어 거기 안에다가 미리 bat 파일이나 txt 파일로 네트워크 IP 설정 명령어를 입력한 다음 파일을 불러와서 실해시켰어..

그리곤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잡아줘 이렇게
net use z: \\10.1.1.10\backup /user:backup password

그리곤 복구해야할 버전을 탐색해
wbadmin get versions -backupTarget:\\10.1.1.10\backup

리스트가 줄줄이 나오면 거기서 하나를 골라서 복구를 하면되...
wbadmin start sysrecovery -backupTarget:\\10.1.1.10\backup -version:08/21/2013-05:18  -user:backup -password:password -machine:backup -recreatedisks -restoreallvolumes

recreatedisks는 디스크를 초기화 한다는거고 restoreallvolumes는 전제 드라이브를 복구 한다는 거야 <끝>





윈도우 백업 (wbadmin)를 사용해 보자 (3)

백업 내용을 알아볼 차례다...
백업파일에 뭘 백업 했는지 궁금할땐 이렇게 하면되..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 (링크)

여기서도 2008에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연결한걸 기준으로 한다.

wbadmin get items -version:[버전 식별자 값] -backupTarget:[경로] -user:[사용자명] -password:[패스워드] -machine:[컴퓨터이름]

예) wbadmin get items -version:08/21/2013-05:18 -backupTarget:\\10.1.1.10\backup -user:backup -password:password -machine:backup

이렇게 실행하면 

wbadmin 1.0 - 백업 명령줄 도구
(C) Copyright 2004 Microsoft Corp.


공유 폴더에 있는 백업에 액세스할 권한이 없습니다.
공유 폴더에 대한 읽기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제공하십시오.

'\\10.1.1.10\backup\'의 사용자 이름 입력: backup
\\10.1.1.10\backup\의 암호 입력:
볼륨 Id = {9886d2a8-e63f-11df-b45e-806e6f6e6963}
볼륨 'Win2K8', C:에서 탑재됨

볼륨 Id = {9886d2a9-e63f-11df-b45e-806e6f6e6963}
볼륨 'Data', D:에서 탑재됨

응용 프로그램 = FRS

구성 요소 = 39384E46-7930-4F48-91F2-9F22551A0BF7-9D0DB2B7-2896-46FC-ABA2-6A90BA0
47CDB (SYSVOL\39384E46-7930-4F48-91F2-9F22551A0BF7-9D0DB2B7-2896-46FC-ABA2-6A90B
A047CDB)

응용 프로그램 = AD

구성 요소 = ntds (C:_Windows_NTDS\ntds)

응용 프로그램 = Registry

구성 요소 = Registry (\Registry)

응용 프로그램 = Exchange

구성 요소 = bedabfe1-ef9f-434a-b9f6-85869d9a6bb5 (Microsoft Exchange Server\Micr
osoft Information Store\MAIL\bedabfe1-ef9f-434a-b9f6-85869d9a6bb5)

이런식으로 결과 값이 나타나..
뭐... 대충 볼륨 C 드라이브와 D 드라이브가 있다는 것이랑 AD와 Exchange가 설치 되어있다는게 보여...

자 그럼 이제 복구를 해보자... <3부> 끝

윈도우 백업 (wbadmin)를 사용해 보자 (2)

자~~~ 백업을 했으니 내 백업이 어딧나 찾아봐야지?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봐봐 (링크)

윈도우 2008에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사용한걸 기준으로 설명할께..

wbadmin get versions -backupTarget:[경로] -user:[사용자명] -password:[패스워드] -machine:[컴퓨터이름]

예) wbadmin get versions -backupTarget:\\10.1.1.10\backup -user:backup -password:backup -machine:MYCOM

이렇게 실행하면 

wbadmin 1.0 - 백업 명령줄 도구
(C) Copyright 2004 Microsoft Corp.


공유 폴더에 있는 백업에 액세스할 권한이 없습니다.
공유 폴더에 대한 읽기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제공하십시오.

'\\10.1.1.10\backup'의 사용자 이름 입력: backup
\\10.1.1.10\backup의 암호 입력:
백업 시간: 2013-08-21 14:18
백업 대상: 레이블이 \\10.1.1.10\backup인 네트워크 공유
버전 식별자: 08/21/2013-05:18
복구 가능: 볼륨, 파일, 응용 프로그램, BMR(Bare Metal Recovery), 시스템 상태


이런 메시지가 나와

회색으로 된 부분은 user 명과 password 를 미리 입력 안하고 실행하면 나타나는 메시지야 미리 입력했다면 안나오겠지...

여기서 주요한건 버전 식별자야 굵은 글씨에 밑줄 쫙~ 해놓은 부분이 나중에 복구할때 필요한 내용이야..

백업을 여러번 했다면 여러번의 백업이 생기겠지 그걸 구분하기 위한거야.. 마지막 백업만 복구 할 수 있는게 아니고 자기가 원하는 날짜의 백업을 복구 할 수 있어..

다음 회에는 백업의 내용을 확인 해보자 <2부> 끝.

윈도우 백업 (wbadmin)를 사용해 보자 (1)

옛날 옛날 먼옛날에 ntbackup이라는 분이 계셨지...
하지만 windows vista / 2008 이후로 wbadmin이라는 분에게 자리를 양보 하셨지..

여튼 윈도우 백업을 해보자...

나는 GUI 를 사용하지 않고 command 를 사용하여 백업을 해보기로 했어... 아니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생겼어....

vista / 2008 에서는 스케쥴 백업 사용시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백업을 할 수가 없어..
스케쥴 백업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은 7과 2008 R2 이상의 버전에서만 가능해.. 아......짜증나지.....그래서 그럼 "한 번 백업"을 스크립트로 해서 윈도우 작업 스케쥴러를 걸어서 백업 하면 어떨까를 생각했어.. 그러던중 wbadmin도 command 모드를 지원하는걸 알아냈고 이걸로 백업을 해보기로했어.. 자세한 사용법은 여기가서 봐. (링크)

2008 기준으로 "한 번 백업"을 하는 방법을 적어볼게

첫번째, 로컬 백업
wbadmin start backup -backuptarget:[저장경로] -include:[원본경로1,원본경로2,....] -vssFull
두번째, 네트워크 백업
wbadmin start backup -backupTarget:[저장경로] -user:[사용자명] -password:[패스워드] -include:[원본경로1,원본경로2,....] -vssFull


예) 네트워크 백업
wbadmin start backup -backuptarget:\\10.0.0.10\backup -user:backup -password:backup -include:c:,d: -vssFull

이렇게 하면 원격지인 10.0.0.10 서버에 WindowsImageBackup 폴더 아래에 HOSTNAME으로 된 폴더가 생성 되면서 백업이 시작되지...백업이 완료되면

볼륨 Data(D:)의 백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백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백업 요약:
------------------

볼륨 Win2K8(C:)의 백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볼륨 Data(D:)의 백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라고 성공을 축하하는 메시지가 나타나 이럼 백업이 완료 된거야...

여기까지가 백업이야 다음편은 백업 확인이야....<1부> 끝.